클레르몽풋에 관한 재미있는 사실 다섯 가지

알고보면 더 재미있는 리그앙의 세계⚽

스포츠

J. Damase/Auvergne-Rhône-Alpes Tourisme
© J. Damase/Auvergne-Rhône-Alpes Tourisme

소요 시간: 0 분게시일: 4 4월 2024

클레르몽풋63(이하 클레르몽풋)은 프랑스 중부 지역에 있는 클레르몽-페랑을 연고로 한 팀이다. 프랑스 리그앙 소속팀 지도를 보면 중부를 빼고 반지 모양으로 팀들이 연결되는 걸 볼 수 있는데, 클레르몽풋은 유일하게 반지 안에 들어가 있다. 연고지인 클레르몽-페랑은 매우 특별하다. 역사적으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고, 지리적으로도 화산지대와 가까운 곳이다. 프랑스 내에서 문명과 자연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도시라고 보면 된다. 즐길 거리도 풍부하다. 클레르몽-페랑에 가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국제 단편 영화제에 참석하고 타이어 회사 미슐랭 본사를 방문한 뒤 클레르몽풋 경기를 볼 수 있다.

리그앙으로 가는 데 100년

클레르몽풋은 1911년 창단한다. 당시 이름은 스타드클레몽투아(Stade Clermontois)다. 클레르몽풋은 1945-46시즌 프랑스컵 준결승에 오르며 정점에 도달했으나, 바로 다음 시즌인 1946-47시즌에 재정난으로 프로 자격을 잃었다. 클레르몽풋은 1966년에야 다시 프로팀이 됐고, 1984년에는 AS몽페랑과 합병하며 클레르몽페랑풋볼클럽(CFC)로 다시 태어났다. 이후 팀은 클레르몽풋오베르뉴(Clermont Foot Auvergne)로 개명했고(현재 팀 이름으로 개명한 것은 2014년), 1993년에 프로라 할 수 있는 리그되(2부리그)로 승격한다. 이후 등락을 거듭하던 팀은 2020-21시즌에 리그되에서 2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리그앙에 올랐다. 팀 창단 후 100년 만에 최상위 리그를 밟았다.

갈리아 영웅과 63이 상징?

클레르몽풋은 2004년에 지금의 구단 엠블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. 그전까지는 구단명과 축구공 그리고 구단명을 상징하는 첫 글자 ‘C’를 엠블럼에 썼다. 현 엠블럼은 방패 모양으로 말 탄 기사가 가운데 들어가 있고 가장 밑에 축구공과 그 안에 숫자 63이 있다. 기사의 정체는 갈리아 베르고비족 족장인 베르생제토릭스(베르킨케토릭스)다. 시내에 있는 조드 광장에 서 있는 동상 모양을 따온 것인데, 베르생제토릭스는 갈리아족의 영웅이다. 프랑스 제3공화국은 프랑스의 출발점을 갈리아족으로 설정하고,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갈리아족을 이끌고 로마 제국의 시저와 맞서 싸운 베르셍제토릭스를 영웅으로 만들었다. 그 과정에서 조드 광장에도 1903년 이 동상을 세웠다. 63은 클레르몽-페랑의 지역 코드다.

프랑스컵 드라마

클레르몽풋은 프랑스컵에서 인상적인 성적을 두 차례 거뒀다. 1996-97시즌과 2004-05시즌에 각각 8강에 올랐다. 클레르몽풋은 1996-97시즌에 구단뿐 아니라 프랑스컵 역사에도 길이 남을 드라마를 남겼다. 당시 4부리그 소속으로 프랑스컵에 출전한 팀은 올리비에 앙졸라 골키퍼를 앞세워 이변을 만들기 시작했다. 64강과 32강에서 리그되 소속팀인 로리앙과 마르티그를 각각 3-2, 1-1(승부차기 5-3)으로 꺾었다. 두 차례 승리로도 충분했지만, 클레르몽풋은 16강에서 파리생제르맹과 연장 혈투 끝에 4-4로 비기고, 승부차기에서 4-3으로 이겼다. 당시 앙졸라는 PSG 영웅 중 하나인 폴 르 갱의 승부차기도 선방했다. 클레르몽풋은 8강에서도 리그앙 소속인 니스와 연장 혈투를 벌여 1-2로 아쉽게 패했으나 프랑스 축구 팬들은 이들의 동화에 박수를 보냈다.

여자 지도자를 선임한 선구자

클레르몽풋은 리그앙으로 오르기 전에 이미 프랑스 축구계에 역사적인 순간을 남겼다. 2014년에 프랑스 프로팀 중 처음으로 여성을 감독으로 선임했다. 포르투갈 출신 엘레나 코스타에 지휘봉을 맡겼다. 물론 코스타는 한 달 만에 감독직에서 내려오면서 구단을 “아마추어 같다”, “존중이 부족하다”라고 비판하기도 했다. 클레르몽풋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또 다른 여성 지도자 코린 디아크르에게 팀을 맡겼다. 디아크르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팀을 이끌었다. 그는 나름 성공적으로 클레르몽풋에서 임기를 마치고, 2017년부터 2023년까지 프랑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았다.

경기장은 더 크게

홈경기장은 스타드 가브리엘-몽피에다. 프랑스 레지스탕스이자 클레르몽-페랑 시장을 역임한 몽피에의 이름을 딴 이 경기장은 1995년 12월 30일 개장했다. 당시 경기장 수용 규모는 10,810석이었다. 이 경기장은 아일랜드 리머릭에 있는 토몬드 파크에 영감을 받아 두 개의 ‘눈’처럼 생긴 관중석 스탠드를 갖추고 있다. 클레르몽-페랑시는 2011년에 팀이 리그되로 승격하면서 경기장을 확장하기로 했고, 일단 모듈 스탠드를 설치했으며 2020-21시즌이 끝난 후에는 3천석 규모의 사이드 스탠드를 더 만들었다. 2024년 1월, 시와 구단은 임시 스탠드를 철거하면서 수용 규모를 16,200석으로 늘리는 공사를 시작했다. 이후에 성적이 좋으면 경기장 규모를 3만 석까지 늘리는 계획도 표결에 들어갈 수도 있다.

By 히든 K 류청 편집장

류청 기자는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스포츠 전문 미디어 히든 K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. 여행과 문화 등 축구장 밖에서 일어나는 일에도 관심이 많다. 책 <사람은 축구를 공부하게 만든다>, <유럽 축구 엠블럼 사전>, <월드컵 축구 엠블럼 사전>, <박태하와 연변축구 4년의 기적>의 저자다.

더보기